하다보면 늘겠지 ʕ •ᴥ•ʔ

직접 해본 것과 그냥 아는 것은 다르니까- 어설프더라도 이것저것 해보는 중

728x90
반응형

정보처리기사 (2022) 66

[정처기] 4과목 : IP 클래스/서브넷마스크/서브넷팅

[정처기] 4과목 : IP 클래스/서브넷마스크/서브넷팅 IP 주소는 이진수 8자리다 1. IP클래스 A클래스: 0★★★★★★★ B클래스: 10★★★★★★ C클래스: 110★★★★★ D클래스: 미사용, 멀티캐스팅 예약찜 E클랙스: 미사용, 실험용 2. 서브넷마스크 A클래스 : 255.0.0.0 B클래스: 255.255.0.0 C클래스: 255.255.255.0 예) 192.168.0.1/25. 서브넷마스크는? 255.255.255.★☆☆☆☆☆☆☆ 25=24+1이니까 별 1개를 네트워크 아이디로 사용(=1), 별 7개(=0)가 남음 255.255.255.128 예)C클래스를 26개의 서브넷으로 나누고 싶음. 서브넷마스크는? 255.255.255.★★★★★☆☆☆ 별 1개를 쓰면 2개(1,0)서브넷이 되고 별 ..

😭🤬😱🤦‍♀️👿 분노의 정처기 D-5

2020년, 2021년, 2022년 1회까지 기출을 풀었다. 1,2,3 과목은 순조로운데, 4과목은 역시나 포인터 문제가 발목을 잡고 5과목은 뭐...그냥 분노와 억울함이다. 신기술을 어떻게 다 알아요? 제가? (심한말) 출제자가 '한 번 틀려볼래?' 라고 낸 질문은 다 틀린다. 이야~누군지도 모르는 사람의 마음을 맞춰주다니~~대단해~~~ 실기에 가서 고생하더라도 일단 필기는 통과해야 한다. 이번 시험이 PBT로 보는 마지막이라 반드시! 꼭!!!!!! 과목당 40점 미만의 과락이 있으면 안 되고, 5과목의 평균은 60점 이상이면 된다. 총점 300점을 맞추면 되니까 1, 2과목 : 80점 이상 3과목 : 90점 이상 4, 5 과목: 50점씩만 맞자! 반타작은 할 수 있겠지? 남은 시간동안 포인터를 보자!..

[정처기] 4과목 : IPv4 , IPv6

[정처기] 4과목 : IPv4 , IPv6 1. IPv4 - 32비트 - 8비트씩 4부분 10진수 - IPSec 프로토콜을 별도로 설치해 보안해야 함 - 유니캐스트, 멀티캐스트, 브로드캐스트 2. IPv6 - 128비트 - 16비트씩 8부분 10진수 - 품질, 보안 보장 - 유니캐스트, 멀티캐스트, 애니캐스트 - 패킷 크기 확장 - 헤더 추가 가능 3. IPv4 -> IPv6 - Tunneling : 캡슐화 & 역캡슐화 - Header Translation - Dual stack

[정처기] 4과목 : OSI7계층 , TCP/IP 4계층

[정처기] 4과목 : OSI7계층 , TCP/IP 4계층 ✅ OSI 7계층 7) 응용 6) 표현 - 암호화, 인코딩 5) 세션 - 대화제어 4) 전송 - 양 종단간 신뢰성 있는 정보 전달 - 세그먼트 3) 네트워크 - 패킷 - 라우터 2) 데이터링크 - 인접한 노드간 신뢰성 있는 정보 전달 - 상위서브 LLC , 하위서브 MAC (노드 통신기회 부여) - 프로토콜 PPP, LLC, HDLC - 프레임 - 스위치, 브릿지 1) 물리 - 비트 - 허브, 리피터 ✅ TCP/IP 4계층 1) 응용계층 (응,표,세) - HTTP, FTP, SMTP(메일), DNS, RIP... 2) 전송계층 (전) - TCP, UDP - TCP는 안정적인 대신 UDP보다 속도 느림 - UDP는 속도가 빠른 대신 신뢰성은 떨어짐 ..

[정처기] 5과목 : 라우팅 프로토콜

[정처기] 5과목 : 라우팅 프로토콜 1.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 - 관리자가 직접 경로를 설정함 2.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- 라우터들끼리 알아서 경로를 설정함 2.1 내부 1) RIP - 최대 15홉까지만 이동 가능, 소규모망에 적합 - 거리벡터 알고리즘 - 네트워크 속도나 안전성 고려하지 않고 오직 홉수로만! 2) OSPF - 제한 없음 - 링크상태 알고리즘 - 최적경로를 위해 홉수, 대역폭, 지연시간 등을 고려함 2.2 외부 1) BGP - 외부로 빠질 때 (RIP, OSPF에 비해 규모가 큰 망)

[정처기] 5과목 : 접근통제

[정처기] 5과목 : 접근통제 1. 접근통제 정책 1) MAC (Mandatory Access Control) - 강제적 접근통제 - 이 파일은 2등급 이상부터 읽을 수 있음. 너 몇 등급임? 저리가셈 - 자원의 보안레벨과 사용자의 보안 취급인자를 비교 2) DAC (Discretionary Access Control) - 임의적 접근통제 - 자원의 소유권을 가진 사람이 다른 사람의 접근을 허용하거나 제한할 수 있음 3) RBAC (Roll Based Access Control) -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접근하는 통제 - 개별적인 신분이 아니라 조직 내 그룹/역할에 따라 부여 2. 접근제어 모델 - BLP 모델 (벨라파듈라) : 기밀성, 군대. No read up, No write down - BIBA ..

[정처기] 5과목 : 암호 알고리즘

[정처기] 5과목 : 암호 알고리즘 복화화가 가능한 양방향, 복호화가 불가능한 단방향 1. 양방향 1.1) 대칭키 (암호화키랑 복호화키가 같음) -> 속도 빠름빠름 대용량에 적합 -> 키를 서로 교환해야 하고, 사람이 많아지면 키 관리가 어려움 - 스트림방식 : RC4, LFSR, A5 - 블록방식 : DES, AES, IDEA, SEED, ARIA 1.2) 비대칭키 (암호화키랑 복화화키가 다름. 공개키 암호방식이라고도 함) ->공개키는 다 같이 쓰고, 개인키만 관리하면 되니까 그나마 낫다 ->연산속도가 느리고 암호화 길이에 제한이 있음 - 인수분해 RSA - 이산대수 DH, DSA - 타원곡선방정식 ECC 2. 단방향 2.1) 해시 - 무차별로 넣다보면 암호화가 깨질 수도 있음 - 해시를 정리해놓은 레..

[정처기] 5과목 : 소프트웨어 품질 성숙도 모델

[정처기] 5과목 : 소프트웨어 품질 성숙도 모델 미국에서 CMM(5단계) 만들었더니 유럽에서 SPICE(6단계) 만들었음 미국이 질 수 없지! CMMI(5단계) 다시 만들었음 1) CMM - 초기단계 - 반복 - 정의 - 관리 - 최적화 2) SPICE - 불완전(Imcomplete) : 목적을 달성하지 못함 - 수행(performed) : 목적은 달성함 - 관리(managed) : 있는 힘껏 산출물을 낼 수는 있음 - 확립(established) : 공학 원칙에 기반해 할 수 있음 - 예측(predictable) : 통제할 수 있고 일관됨 - 최적화(optimizing) : 다 했구나 이제 하산하거라 (개선하기) -> 스불(완전)!!! 수(행)관(리)이 너 확(립)! 예측하고 최적화하랬지! 3) CM..

728x90
반응형